CJ대한통운이 후원하는 ‘2025 오네(O-NE)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의 올해 현장 관람객이 14만 8천 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TV·디지털 중계를 포함하면 경기당 평균 38만 9천여 명에게 브랜드 노출이 이뤄졌다.
이처럼 자동차·모터스포츠·기술 산업 중심의 브랜드들이 슈퍼레이스를 통해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창출한 한 해로 평가받고 있다. 팬 경험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확대되면서 후원사는 단순 배너 노출을 넘어 고객과 직접 만나고, 자사 기술력을 선보이는 플랫폼으로 슈퍼레이스를 적극 활용했다.
슈퍼레이스와 가장 긴 호흡을 이어온 브랜드는 CJ대한통운이다. 대회 타이틀 스폰서로서 10년째 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슈퍼레이스가 가진 ‘속도·정확성·정교함’이라는 속성은 물류산업 이미지와 맞닿아 높은 마케팅 효율을 만들어왔다. 올해 역시 고객 대상 이벤트, 서킷 현장 프로그램 등 브랜드 접점을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했다.
한국토요타자동차는 대한민국 모터스포츠 최상위 클래스인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의 카울 스폰서십에 이어 네이밍 스폰서십까지 후원을 확대하며 브랜드 존재감을 강화했다. 서킷 팬존에서 운영한 GR브랜드 홍보 공간은 레이스 팬뿐 아니라 차량 구매 고객까지 현장으로 끌어들였으며, 모터스포츠 체험 프로그램을 연계해 GR 라인업의 퍼포먼스 이미지를 강화하는 전략이 주효했다.
연료·타이어 분야의 기술 파트너십도 한층 치열해졌다. HD현대오일뱅크는 고급휘발유 ‘카젠’을 토요타 가주 레이싱 6000 클래스를 포함한 모든 클래스에 공식 연료로 공급하며 퍼포먼스 중심의 브랜드 이미지를 공고히 했다. 경기마다 수십 대의 차량이 카젠을 기반으로 레이스를 펼치며 ‘고성능=카젠’이라는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구축했다.
타이어 부문에서는 한국타이어, 브리지스톤타이어, 넥센타이어 등이 클래스별로 기술력을 펼쳤다. 한국타이어는 GT4·GTA·GTB·알핀 등 핵심 클래스에서 고성능 타이어를 제공하며 다중 클래스 후원을 통해 가장 넓은 영역에서 브랜드를 노출했다. 브리지스톤타이어와 넥센타이어 역시 지난 시즌에 이어서 각각 프리우스 PHEV와 LiSTA M 클래스의 공식 타이어 파트너로 참여했다.
특히 시즌 최종전에는 CJ온스타일의 라이브 커머스 콘텐츠, 올리브영, CGV 부스 협업 등이 동시에 진행되며 모터스포츠와 라이프스타일 콘텐츠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는 슈퍼레이스가 단순한 자동차 경기 플랫폼을 넘어, 산업 간 융합 마케팅 모델로 진화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슈퍼레이스 관계자는 “모터스포츠는 이제 단순한 경기 콘텐츠를 넘어, 다양한 산업군이 만나는 융합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자동차 산업은 물론 유통, 콘텐츠, 라이프스타일 기업들과 협력해 브랜드와 팬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2025 오네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총 9라운드, 7개 정규 클래스, 누적 150여 대 이상의 머신이 출전하며, 대한민국 모터스포츠 산업과 브랜드 마케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시즌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